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ACM-ICPC 상 탈 사람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ACM-ICPC 상 탈 사람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360)
    • 서버 관련 (9)
      • JS (5)
      • AmazonWebService (1)
      • Backend 지식 (3)
    • 일상 (13)
      • Daliy (1)
      • 잡담 (10)
      • 개인 (2)
    • 알고리즘 관련 (337)
      • BOJ (303)
      • UVaOJ (8)
      • SPOJ (1)
      • 알고리즘&이론 (25)
  • 방명록

서버 관련/Backend 지식 (3)
GraphQL 스키마 작성하기 (GraphQL Schema)

GraphQL(GraphQueryLanguage) 란? 위 글에서 GraphQL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. GraphQL을 이용한 AP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키마(Schema)를 작성할 수 있어야한다. 스키마는 데이터 타입의 집합으로 API 문서 역할을 한다. GraphQL API를 설계할 때엔 스키마를 먼저 정의하게 되며 이 스키마에는 어떤 종류의 객체를 반환할 지 내가 받을 수 있는 자원은 어떤 종류인지 어떠한 자원을 인자로 받는지가 정의되어있다. # 스칼라 (Scalar) 스칼라 타입은 gql schema에서 쪼개질 수 없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5가지 기본 타입이 존재한다. Int : 부호가 있는 32비트 정수 Float : 부호가 있는 부동소수점 값 String : UTF-8 문자열 Boo..

서버 관련/Backend 지식 2020. 4. 18. 11:32
GraphQL(Graph Query Language) 란?

# GraphQL GraphQL은 Graph Query Language의 줄임말으로 페이스북에서 개발하였으며, 서버 API를 구성하기 위해 만든 데이터베이스 쿼리 언어이다. 쿼리문의 작성이 직관적이며 API를 호출할 때 쿼리문을 원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응답받도록 할 수 있다. 기존 서버 API에서 주로 사용되던 RESTful API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모든 API를 구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니즈는 GraphQL의 등장배경이 되었다. https://graphql.org/ 에 접속하여 GraphQL의 쿼리문의 형식과 그에 따른 응답을 예제로 볼 수 있다. # EndPoint 위에 적었듯 GraphQL의 등장배경에는 RESTful API의 구현방식 상 각기 다른 요구 사항에..

서버 관련/Backend 지식 2020. 4. 16. 22:38
REST API 란?

# 서버 API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는 특정 서비스나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OS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이다. 서버 API는 web 서버에 어떠한 요청을 하였을 때 그에 맞는 응답을 줄 수 있는 Endpoint를 Web을 통하여 노출한 것이다. 예를 들자면 어떠한 개발자가 http://54.43.122.44/weather 라는 endpoint에 현재 날씨를 text로 반환하는 API를 open했다면 사용자는 해당 endpoint로 요청하여 현재 날씨를 text로 받아올 수 있다. # REST API REST는 서버 API를 만드는 방법론 중 하나이며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..

서버 관련/Backend 지식 2020. 4. 9. 23:19
이전 1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  • Node.js로 DynamoDB 시작⋯
  • Node.js로 DynamoDB 시작⋯
  • Express와 Apollo server⋯
  • GraphQL 스키마 작성하기⋯
최근에 달린 댓글
  •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굳굳⋯
  • 간선의 방향을 다 거꾸로 받⋯
  • 넵 요즘은 거의 node js 만⋯
  • 문제 설명 감샇바니다. :) 'B⋯
Total
315,368
Today
35
Yesterday
199
링크
  • 민호형
  • 제주시민
  • 꼴뚜기
  • 김흿
  • 태양쓰
  • 정률이
  • 정이 형
  • stack님
  • 세지니
  • 매브레이커
  • 박트리님
  • 플즈런님
  • 맹킹
  • 송이 블로그
TAG
  • MCMF
  • 트리
  • 이분 매칭
  • MST
  • dfs
  • 그리디 알고리즘
  • 수학
  • disjoint-set
  • BFS
  •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  • KMP
  • 힙
  • 디닉
  • 좌표 압축
  • SCC
  • 이분 탐색
  • LCP array
  • 네트워크 플로우
  • 위상 정렬
  • 세그먼트 트리
  • lazy propagation
  • 다익스트라
  • partial sum
  • lca
  • 분할 정복
  • 플로이드 워셜
  • 라인 스위핑
  • 에라토스테네스의 체
  • Suffix Array
  • brute force
more
«   2021/03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  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 31      
글 보관함
  • 2020/05 (2)
  • 2020/04 (6)
  • 2020/03 (1)
  • 2018/07 (4)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